“축의금 얼마나 하나요?” 봉투만 5만원·참석 땐 2배·호텔 3배

입력 2024 04 17 15:55|업데이트 2024 04 17 15:56
결혼식. 서울신문DB
결혼식. 서울신문DB
“주말에 직장 상사 결혼식에 가는데 축의금 얼마나 내야 하나요?

직장인 온라인 커뮤니티에 종종 올라오는 대표적인 논쟁이다. 직장에 다니는 사람은 축의금으로 평균 얼마를 어떻게 내고 있을까?

대한민국의 보통 사람은 결혼식에 가지 않고 봉투만 보낸다면 5만원을, 직접 참석한다면 10만원을 축의금으로 낸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결혼식 장소가 호텔이라면 식사 비용을 고려해 15만원 이상을 낸다는 사람도 많았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10~11월까지 전국 만 20~64세 경제활동자 1만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조사를 통해 얻은 설문 결과를 토대로 17일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인의 결혼식에 가지 않는다면 축의금으로 5만원을 낸다는 사람이 전체의 52.8%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만원을 낸다고 답한 사람은 36.7%, 20만원이 3.3% 순이었다.

결혼식에 직접 참석하는 경우는 10만원을 낸다는 의견이 67.4%로 가장 많았다. 이어 5만원이 16.9%, 20만원이 8.6%, 15만원이 1.5% 순이었다.

봉투만 보내는 경우 평균 축의금은 8만원이었고, 결혼식에 참석하는 경우에는 11만원이었다. 결혼식 장소가 호텔이라면 평균 축의금은 12만원으로 올랐다.

호텔 결혼식에서 축의금으로 10만원을 낸다는 응답이 57.2%로 가장 많았고, 20만원을 낸다고 응답한 비중도 15.6%에 달했다. 반면 5만원을 낸다는 응답은 10.8%에 불과했다. 평균 7~8만원에 달하는 호텔 식대를 고려해 축의금을 더 내는 것으로 보인다.
신한은행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 자료 신한은행 제공
신한은행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 자료 신한은행 제공
20·30대 “청첩장 받은 방식”, 40대 이상 “내가 받은 금액만큼”

결혼식 축의금의 액수를 정하는 기준으로는 모든 연령대에서 ‘사회적 관계’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다만 20·30대는 청첩장을 받은 방식에 따라 축의금을 고려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기혼자가 많은 40대 이상은 내가 받은 금액만큼 내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20·30대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20·30대의 결혼식 축의금 액수 결정 기준은 사회적 관계가 28.9%로 가장 높았고, 내가 받은 금액이 22.4%, 나의 지출 여력이 12.3%, 청첩장 받은 방법이 11.7%로 뒤를 이었다. 40대 이상의 경우 사회적 관계가 32.7%, 내가 받은 금액이 31.1%, 나의 지출 여력이 12.1%, 청첩장 받은 방법이 8.7%로 나타났다.

20·30대 “참석 자체에 의의”, 40대 이상 “금액 적다면 봉투만”

경조사 참석 여부에 대한 인식에서는 연령대별 차이가 두드러졌다. 20·30대는 경조사로 챙겨주는 액수보다는 참석 자체에 의의를 두고 있었고, 40대 이상은 적은 금액을 낸다면 참석하기보다는 봉투만 내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다.

최근 1년 동안 경조사 참석 횟수는 평균 4.1회였다. 20대는 2.2회, 30대는 3.1회, 40대는 3.6회, 50·60대는 5.8회로 나이가 많을수록 참석 횟수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최재헌 기자
  • 카카오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트윅,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예의 참견
더보기
여기 이슈
더보기
갓생 살기
더보기
광고삭제